자유게시판

[일반펌글] 캠핑가서 쓰기 괜찮은 낚시대

USS DELTA VECTOR 2024. 7. 25. 10:35

[일반펌글] 캠핑가서 쓰기 괜찮은 낚시대

 

오캠같은건 무게나 부피의 제약이 널널하니 논외로 하고 백패커가 쓰기에 괜찮은 낚시대 몇 개가 있어 소개하려고 글 써봄 캠핑이 메인이라면 중고가(20후반~40이상~60이상의 초고가플래그쉽)의 로드는 절대 비추 

 

닥치고 싼마이로 가라 라고 말하고 싶네요

소물게임으로 간다면 아래와 같네요

 

 

1. 견지낚시대

시간 보내기에 최적화된 견지낚시대...

무게는 거의 신경안써도 될 정도고 부피는 실 패 부분이 좀 차지함

먹거리를 위한 낚시보다는 낚는재미를 위한 낚시에 적당함

물론 전문견지꾼들의 경우엔 수제 짓대로 누치, 끄리, 잉어 대물을 잘도 낚아내긴 하지만...논외로하고 파리낚시채비같은 걸 준비해서 여울에 흘리면 피라미 낚기에 참 좋음 아주 쉽기도 하고 

물론 소물낚시 라는 전용사오와 도구도 있다

 

(다만 피라미는 어떤 시기에 하느냐에 따라 넣으면 무는 경우와 눈앞에 바글거릴 정도로 있어도 허탕치는 경우가 나뉘므로 주의하시고) 참고로 견지낚시를 할 때는 억지로 줄을 감아서 힘으로 고기를 끌어내기 보다는 힘겨루기를 하면서, 천천히 라인을 감으면서 끌어내기를 추천함

무슨 피라미 잡으면서 힘겨루기 타령하느냐 할 수도 있는데 작은 고기로도 생생한 손맛을 주는 것이 견지낚시의 묘미라고 생각함

 

 

2. 4~5절대 보통 모바일 로드

 

루어낚시에 사용하는 낚시대는 보통 2절로 나눠져 있지만

4~5절대는 말그대로 2미터 남짓한 낚시대로 4~5등분 되기 때문에 휴대하기 좋음 무게도 그리 무겁지 않아서 케이스에 넣고 다니면서 낚시할 때마다 조립해서 쓰면됨

알리에는 이런 낚시대들이 널렸지만 당연히 품질은 보증하기 어렵고 국내에선 슈어캐치가 출시한 모바일배스가 있음

후술할 텔레스코픽 로드는 다른 메이커가 가끔 만들지만 이런 소형 n절대는 거진 안만드는 듯??

 

3. 텔레스코픽 로드

사실 텔레스코픽 로드라는게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보는 쭉 뽑아서 쓰는 낚시대 종류(접어도 1m는 족히되는) 자체를 텔레스코픽이라고 하긴 하는데 실제로 낚시인들의 용어 사용을 보면 안으로 접을 수 있되 아주 짧게 수납이 되는 낚시대를 텔레스코픽이라고 하는 듯함

이건 나도 확실하지 않아서 잘 아시는 분 있으면 피드백 부탁함

각설하고

이런 낚시대는 앞서 기술한 4~5절대와 비슷함 그냥 쭉 뽑아서 쓰면됨 당연히 알리에야 널리고 널렸고 옆나라의 다이와에서 굉장히 다양한 사양을 가진 텔레 로드들을 출시하고 있지만 너무 비싼듯(갤에도 쓰시는 분이 있고 내가 질문드린 적도 있음)

국내에선 ns, 슈어캐치 등이 출시를 하고 있음 더 있었던거 같은데 까먹었음..

 

4. 낚시대를 사기 전에...

저런 낚시대를 사기 전에 알아야 하는 개념이 파워와 테이퍼임

물론 본격적인 낚시를 하려면 원하는 로드의 두 가지 제원을 모두 고려해야 하지만 파워의 개념만 대충 숙지하면 될 듯

게다가 이런 낚시대들은 찾는 사람이 없어서 그런지 테이퍼 같은건 자세하기 표기되지도 않는 듯 함

 

나는 정확히 설명할 자신이 없어서 네이버나 구글 검색에 떠넘기겠음...ㅈㅅ

다만 국내와 해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텔레 로드나 4~5절대는 대부분 ML 이라는 파워임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L 또는 UL 파워의 로드를 사길 추천함

캠핑가서 ML 로드로 잡을 수 있는 어종을 노리는건 주객전도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무튼 L, UL 파워의 로드는 다이와나 ns에서 출시하긴 하는데 그리 많지는 않을 거임 손맛용으로 생각해라

 

번외. 릴

2, 3번 낚시대를 쓰려면 라인을 감을 릴이 필요한데

(여기선 베이트릴에 대한 고려는 제외하고 스피닝릴에 대한 사항만 고려했음)

릴은 500번, 1000번, 2000번 대의 릴을 사면되고 자신이 잡고자하는 어종에 맞추면 됨

참고로 릴에 붙은 번호는 아주아주 단순하게 말해서 릴의 크기와 힘...같은 걸 나타낸다고 보면 될 듯 어차피 앞서 기술한 낚시대들에는 3000번 이상의 릴을 붙이기엔 너무 크고 무거울 거라 생각할 필요가 없고 마지막으로 채비 또한 대상 어종에 맞춰서 준비하면 끝 시마노 다이와 기준 2500번 스피닝릴도 쓸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