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21

헷갈리는 오징어 족보 총정리 한치의 정식 학명은 ‘창오징어’다

헷갈리는 오징어 족보 총정리 한치의 정식 학명은 ‘창오징어’다 조홍식 이학박사, 저자 오징어는 낚아서 즐겁고 먹어서 맛있는 어종이다. 오징어낚시의 장점이라면 힘들이지 않고 쉽게 낚을 수 있다는 것과 오징어가 누구나 좋아하는 어종이라는 것이다. 오징어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낚시방법도 다양한데, 밤바다를 훤히 밝히며 오징어뿔을 오르내리는 선상낚시가 있는가하면 방파제에서 전지찌에 생미끼를 달아 입질을 기다리는 낚시도 있고 가짜미끼인 에기를 사용하는 에깅도 있다.오징어 중에는 흔히 ‘울릉도오징어’로 불리는 가장 흔한 ‘살오징어’를 비롯해 한치라 불리는 ‘창오징어’, 에깅의 주 대상어종인 ‘무늬오징어’, 그리고 서해와 남해 내만에서 많이 낚이는 ‘갑오징어’ 등이 있다. 그 종류도 다양하고 계절마다 지역마다 독특..

자유게시판 2024.04.26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5) 배스(中) 전국의 배스 분포도 조사한 결과 강으로는 영산강, 댐으로는 운암호에 가장 많았다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5) 배스(中) 전국의 배스 분포도 조사한 결과 강으로는 영산강, 댐으로는 운암호에 가장 많았다   1973년 6월 15일 미국 루이지애나의 양어장에서 3~4cm 크기로 자란 배스 500마리가 우리나라에 자원조성용으로 도입되었다. 이 배스들은 팔당호를 포함하여 북한강의 조종천(1975년 4,000마리, 1976년 1,200마리, 1977년 11,020마리)과 토교저수지(1978년 2,500마리)에만 방류되었지만 이후 일부 양식업자가 가두리에서 사육하던 중 방류 또는 유실하거나, 낚시꾼들에 의하여 전국적으로 많은 수계에 방류되었고, 일부는 분포수역과 연결된 수로를 타고 확산되어 현재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2007년부터 필자는 배스의 정밀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직접..

자유게시판 2024.04.26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5) 배스(上) 최고 낚시대상어와 생태계위해종의 두 얼굴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5) 배스(上) 최고 낚시대상어와 생태계위해종의 두 얼굴 외래어종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는 쉽게 피해의식에 사로잡힌다. 왜일까? 우리 민족이 외국의 침략을 많이 받다보니 의식 깊은 곳에 외국 것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자리 잡았고, 그것이 외래어종에 대한 피해의식으로 표출되는 것은 아닐까?과거 우리는 외래종을 들여오면서 상당한 고민을 했을 것이다. 현 상황을 고려하면 배스나 블루길 도입 당시 전혀 고민하지 않았을 것 같지만, 도입 시기에는 그 시절의 경제적인 상황에 비추어 국민들의 먹거리 공급이 가장 우선 고려되었을 것이고 생태계의 위해성 등은 간과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상황은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 분명하다.   배스. 낚시 대상어로 사랑 받지만 국민..

자유게시판 2024.04.26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4) 이용 실태조사 필요한 가장 오래된 도입종 틸라피아(역돔)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4) 이용 실태조사 필요한 가장 오래된 도입종 틸라피아(역돔) 우리나라에 도입된 열대성 어류인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Linnaeus)는 도입종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오랜 기간 양식대상종으로 사육되고 있다. 외래도입종 중 양식대상종으로 가장 많은 양이 생산되고 있는 종은 냉수성 어류인 무지개송어이고, 다음으로는 온수성 어류인 향어, 세 번째로 많이 양식되는 종이 틸라피아다.     틸라피아. 힘이 좋고 돔처럼 맛이 좋아 역돔이란 이름으로 불린다    1955년 국내에 처음 도입역돔이라고도 불리는 틸라피아는 1955년 경남 진해에 있던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연구소가 태국에서 도입했으며, 도입된 후 초기에는 온천수를 이용해 양식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자유게시판 2024.04.26

세계의 배스 지구촌 배스의 종류는 11종 라지마우스, 스몰마우스가 가장 많아

특집Who are you? Korea Bass 세계의 배스 지구촌 배스의 종류는 11종 라지마우스, 스몰마우스가 가장 많아 조홍식 理博, 저자 우리가 배스라고 부르는 물고기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선피시과의 물고기다.  라지마우스배스, 스몰마우스배스 등 11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 이식된 배스는 노던 라지마우스배스다. 우리나라에서 ‘배스’라고 부르는 어종은 미국에서 수입된 라지마우스배스( 기엔 직역하여 큰입우럭이라 부르기도 했다)를 지칭한다. 그런데 서양(영어권)에서 배스라고 부르는 물고기는 실로 다양하다. 남자답게 생긴 물고기에는 대개 배스라는 이름이 붙어있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배스라는 물고기를 분류학적으로 본다면 매우 복잡한 계통으로 이뤄져 서로 공통점도 그리 많지  은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자유게시판 2024.04.26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3) 이식에 실패했지만 재평가해야 할 물고기 초어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3) 이식에 실패했지만 재평가해야 할 물고기 초어  이완옥 이학박사, 중앙내수면연구소 외래도입종 중에는 지금은 크게 수요가 없어 방치되어 있지만 도입 당시에는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었거나 이용될 것으로 예상되었던 종들이 대부분이다. 특히 이러한 종들은 대부분이 국내 수생태계에 적응하지는 못하고 점차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대형종 중에는 강이나 댐 호수에서 간혹 출현하여 낚시인뿐 아니라 많은 국민을 놀라게 하는 종들이 있다. 대표적인 물고기가 초어다.초어(草魚, Ctenopharyngodon idellus (Valenciennes))는 풀을 먹는 고기라는 의미로서, 영명도 풀을 먹는 잉어라는 뜻으로 ‘Grass carp’이라 부른다. 수생식물 뿐 아니라 육상식물까지 먹는 물고..

자유게시판 2024.04.26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2) 활용 가치 늘어나는 가장 성공한 이식어종 떡붕어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2) 활용 가치 늘어나는 가장 성공한 이식어종 떡붕어  외래 도입종 중에서도 우리나라에 가장 널리 퍼져 있고 낚시인들과 친근한 떡붕어를 예로 들면서 이번 달에는 외래종의 문제를 이해해 보려고 한다.떡붕어(Carassius cuvieri Temminck and Schlegel)는 우리가 지금은 너무나 쉽게 볼 수 있는 물고기로 낚시인들에게 있어서는 이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대상어가 되었다. 그러나 이 떡붕어는 외래종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면 우리나라 붕어낚시인 중 상당수가 대상어로 즐기고 있고, 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유지하는 어민들이 붕어보다 떡붕어를 더 많이 잡아 소득을 올리고 있는 지금(2010년 기준으로 보면 내수면 어업인들이 잡는 떡붕어를 포..

자유게시판 2024.04.26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 식용·낚시 모두 인기 높은 최고의 양식어종 무지개송어

이완옥 박사의 외래어종의 현주소 연재를 시작하며…   외래종에 대한 논란은 우리나라에서 낚시를 하는 분들의 입장에서 보면 피할 수 없는 화두가 되어 있다. 붕어를 대상으로 하는 대낚시에서 떡붕어를 빼고 생각하기가 어렵게 되었고, 배스를 제하고 민물루어낚시를 생각하는 것 또한 힘들 것이며, 무지개송어를 제외하고 멋있는 플라이낚시를 상상이나 할 수 있겠는가. 그런데 정작 이 낚시대상어들을 보면 조금 다른 시각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배스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생태계 위해종이고, 떡붕어도 환경부에서 생태계 위해종으로 지정하고자 입법 예고까지 했다가 철회한 종이며, 무지개송어도 현재 집중적인 감시대상종이다.양식어업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무지개송어는 양식생산량으로 우리나라에서 2~3위를 달리는 중요한 종이며,..

자유게시판 2024.04.26